1. 제주비엔날레 전시 소개
제주비엔날레는 1995년 제주프레비엔날레로 시작해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담은 작품들을 선보여왔습니다.
2017년부터 제주비엔날레로 이름이 바뀌고 새롭게 거듭나며 세계 다양한 예술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제 3회 제주비엔날레는 기후 위기 시대에 지구적 공생을 위한 예술적 실천을 찾는 것을 주제로 열렸습니다.
전시된 작품 속에서 기후위기 이슈와 자연에 대한 여러 예술가들의 고민과 생각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전시제목: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
참여작가: 강미선, 김기대, 김수자, 목진요, 갈라 포라스 킴, 아니카 이, 안드레아스 에릭슨, 앤디 휴즈 등
일시: 2022년 11월 16일 ~ 2023년 2월 12일
가격: 8천원 (온라인 예약 또는 현장 발권)
장소: 제주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 4개의 위성 전시관
위성 전시관은 제주 개벽 신화의 발원지이자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유적인 삼성혈
국제적인 평화와 상생을 교류하는 제주국제평화센터
제주 전통 가옥의 형태를 보존하여 문화 공간으로 조성한 미술관옆집 제주
문화를 통하여 가파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가파도 AiR (가파도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2. 작품소개 김보희 작가 <the Dasy>
작가: 김보희
작품형식: 실감 미디어
장소: 공공수장고 미디어아트
소요시간: 20분
제주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은 미디어아트입니다.
공공수장고의 작품만 따로 관람하면 관람료가 2,000원이지만 제주비엔날레 티켓을 소지하고 계시는 분들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제주현대미술관 바로 맞은편에 수장고가 있으니, 미술관만 보지 마시고 꼭! 미디어아트 관람도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인간 이전, 태초의 자연에서 느끼는 고요함과 신비로움"을 주제로 아침바다에서 밤하늘로 이어지는 풍경을 한 화면 안에 담은 실감 미디어 콘텐츠인데, 시간에 흐름을 따라가며 태초의 자연에서 하루를 보낸 것과 같은 황홀한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재밌게 관람하였습니다. 순수한 마음이 들기도 하고, 아름답고 황홀한 자연의 모습을 보면서 뭉클해지기도 하였습니다. 미디어아트의 음악은 가수 하림의 음악이라고 하는데 역시 하림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또한 20분간의 미디어아트를 관람하시고 난 후,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으니 예쁜 사진도 함께 찍으시면 즐거운 추억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남녀노소가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전시이므로 가족단위로 오신 분들도 많았습니다.
3. 작품 소개 윤석남 작가 <김만덕의 심장은 눈물이고 사랑이다>
윤석남 작가의 최대 주제는 어머니입니다.
윤석남 작가의 어머니는 39세의 젊은 나이에 남편과 사별하고 여섯 명의 자식을 혼자 키우셨다고 합니다.
이러한 어머니에 대한 안타까움과 존경심을 담았습니다. 또한 폭넓은 여성과 여성의 삶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제주비엔날레에는 제주 여성 김만덕을 주제로 한 윤석남 작가의 작품이 출품되었습니다.
김만덕은 조선 정조 시절 제주에 큰 기근이 들었을 때, 본인의 재산을 쌀로 바꾸어 가난한 이웃들을 살린 거상입니다.
아래 사진은 <김만덕의 심장은 눈물이고 사랑이다>라는 조형물입니다.
2m의 거대한 핑크빛 심장 형상으로 설치한 작품입니다. 윤석남 작가는 작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소개하였습니다.
김만덕 삶의 족적은 눈물이다. 슬퍼서 우는 눈물이 아니라 감동받아 우는 눈물이다. 김만덕이 한 일은 당시 남성들도 할 수 없었던 일이고, 이타적이고 감동을 주는 사람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
조형물뿐 아니라 제주 여성의 강인한 삶을 표현한 회화 작품도 함께 전시되어 있습니다.
두 작가의 작품만 간단하게 소개했지만, 이 외에도 정말 다양하고 좋은 작품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회화뿐 아니라 설치미술, 미디어아트, 드로잉, 조각, 음향 등 감상할 것이 많은 제주비엔날레에 방문해 보시면 특별한 제주 여행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작가 및 전시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 데이트 드라이브 떠나기 좋은 수도권 미술관 7곳 (2편) (0) | 2023.02.08 |
---|---|
주말 데이트 드라이브 떠나기 좋은 수도권 미술관 7곳 (1편) (0) | 2023.02.08 |
영부인도 반했던 정영환 작가의 푸른숲 (0) | 2023.02.05 |
5대 화가 집안 하태임 작가의 컬러밴드 (0) | 2023.02.04 |
최영욱 작가의 달항아리는 무엇이 다른가, 하트원 전시소개 (0) | 2023.02.03 |
댓글